1. 인두(pharynx)와 편도(tonsil)인두란 비강과 후두 사이에 있으며 호흡도를 겸하고 있다. 인두는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로 나뉘며 구강과 식도사이에서 음식을 전달하는 경로이자 공기가 지나가는 길이기도 하다.
편도는 이러한 인두의 입구를 둘러싸듯이 존재하는 일종의 림프장치로써 인두편도, 귀인두관편도, 목구멍편도, 혀편도로 이뤄져 있으며, 우리 몸에서 하는 역할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면역계의 일부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 인두에 염증이 생긴 경우를 인두염이라 하며 편도선염과 인두 편도선염을 포함한다.
주로 피로 및 과로, 열성질환, 과도한 온도차이, 체질허약, 면역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질환 등으로 인해 발병할 수 있다. 바이러스가 주 병원인이며 세균이 원인인 경우는 대부분 A군 베타 용혈성 연쇄구균이 원인균이다.
인두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목의 통증이다. 초기에는 인두의 이물감, 건조감, 가벼운 기침 정도의 증세가 나타나고, 심해지면 통증, 연하곤란, 고열, 식욕부진 등을 호소하게 된다.
2. 인후신캡슐(은교산)- 구성 생약: 금은화, 연교, 박하, 길경, 감초, 담죽엽, 형개, 두시, 우방자, 영양각
- 생약별 작용
· 금은화, 연교: 항균, 항염증, 소염 작용
· 길경: 인후의 염증 완화, 가래를 배출해 기침 감소
· 형개: 해열작용, 진경작용, 항균작용
· 박하, 우방자, 감초: 소염작용, 진통작용, 진해작용, 거담작용
· 담죽엽, 영양각, 두시: 해열작용, 발한작용
온병 초기에 체표는 풍열에 노출되어 열사가 진액을 손상시키고 폐계(코, 입, 폐 등)는 온사에 노출돼 발열, 두통, 인후통 등 염증성 질환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인후신캡슐'(은교산)은 인후두 및 기관지 등의 염증에 해열, 항균, 항바이러스, 소염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후신캡슐은 인후염, 후두염, 편도선염, 유행성이하선염, 급성기관지염, 화농증 초기 염증 반응으로 발열, 갈증 등의 증상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은교산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비롯한 호흡기 감염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에 관련해서는 은교산에서 추출되는 유효성분 중 5대 핵심 성분인 hesperetin, eriodictyol, luteolin, quercetin, naringenin이 싸이토카인 폭풍(Inflammatory storm)을 일으키는 IL-6, MAPK3, TNF, TP53을 조절하고 항산화, 항증식, 항혈전, 심근 보호, 뇌신경 보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래서 코로나19나 독감으로 인하여 초기에 목이 건조하고 칼칼하며 기침, 두통, 발열 증상이 있다면 은교산제제인 인후신캡슐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감초 성분이 포함돼 있어 위알도스테론증(요량이 감소하거나 얼굴과 손발이 붓고, 눈꺼풀이 무거워지고, 손이 굳어지고, 혈압이 높아지거나 두통 등)과 근병증이 나타날 수 있고 칼륨함유제제, 감초함유제제, 글리시리진산 또는 그 염류 함유제제, 루프계 이뇨제(푸로세미드, 에타크린산) 또는 티아지드계 이뇨제(트리클로르메티아지드)와 병용 시 주의해야 하며 5세 미만의 영유아에게는 금기이다.
3. 트로겐연조엑스(구풍해독탕)- 구성 생약: 감초, 방풍, 우방자, 연교, 형개, 강활, 길경, 석고
- 생약별 작용
· 방풍, 강활, 형개: 소염작용, 순환작용, 진통작용
· 연교, 우방자: 소염작용
· 감초, 길경: 소염작용, 진통작용
· 석고: 소염작용(찬 성질, 내부의 열을 끈다)
구풍해독탕은 구풍해독산에 석고와 길경을 더 넣어서 만든 처방으로 이름 그대로 풍을 몰아내고 해독하는 약이다. 풍열로 인하여 혹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게 되면 폐나 위에 열이 쌓이게 되는데 이 열은 기와 진액의 정체를 유발하여 점막의 건조와 염증을 유발하고 림프관의 부종으로 편도와 귀밑샘 등을 붓게하며 발열, 통증을 유발한다.
이때 '트로겐연조엑스'(구풍해독탕)의 방풍, 강활, 형개는 염증과 막힌 듯이 답답한 림프 부종 및 순환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물질을 발산해서 풀어내고 연교, 우방자는 덩어리를 풀고 염증의 원인을 제거한다. 또한 석고는 찬성질의 약제로써 소화기계와 폐의 열을 꺼주어 기의 순환을 도와주고 길경은 인후에 생긴 담을 제거해 준다.
이러한 작용으로 트로겐연조엑스는 열성 염증, 인후염, 편도염, 이하선염, 임파선염 등 목 부위가 붓고 열감과 염증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또한 코로나19, 독감 뿐만 아니라 황사나 미세먼지로 인한 인후염에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은교산과 같이 감초 성분이 포함돼 있어 위알도스테론증과 근병증이 나타날 수 있고 칼륨함유제제, 감초함유제제, 글리시리진산 또는 그 염류 함유제제, 루프계 이뇨제(푸로세미드, 에타크린산) 또는 티아지드계 이뇨제(트리클로르메티아지드)와 병용 시 주의해야 하며 3개월 미만의 영아에게는 금기이다.
4. 같이 복용할 수 있는 제품최근 날씨가 추워지고 건조해지며 찬바람이 불면서 감기환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독감과 코로나19 환자까지 있다 보니 약국에서 인후염, 편도염과 같은 목에 관련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런 환자들에게 인후신캡슐, 트로겐연조엑스와 함께 프로폴리스, 소염진통제, 소염효소제 등을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항균작용 또는 소염작용이 있는 인후스프레이, 가글액, 트로키제를 추가로 권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프로폴리스, 유산균, 비타민D, 아연 등 면역에 좋은 제품들을 적절히 병용하게 해 환자의 면역력까지 관리해 줄 수 있다.
5. 정리
편승원 약사.
참고문헌1) Haixiong Lin, Xiaotong Wang, Minyi Liu, Minling Huang, Zhen Shen, Junjie Feng, Huijun Yang, Zige Li, Junyan Gao, Xiaopeng Ye. Exploring the treatment of COVID-19 with Yinqiao powder based on network pharmacology. Phytotherapy Research 2021;35(5):2651-2664.
2) 한국임상약학회, 약물치료학 (제3개정), 2015, 970-975
3) 한풍제약. (인후신캡슐) https://www.hanpoong.co.kr/products/product-search?tpf=product/view&category_code=1111&code=1857
4) 한풍제약. (트로겐연조엑스) https://www.hanpoong.co.kr/products/product-search?tpf=product/view&category_code=1111&code=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