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모트리진' 성분 제제가 2021년 7월 7일 일부로 안전성 정보와 관련해 국·내외 현황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에 따라 허가사항이 변경됐다. 복약지도 시 참고하기 바란다.
라모트리진 단일제(경구제) 허가사항 변경대비표라모트리진신경계관련약물들은 GABA와 glutamate와 같은 아미노산계 신경전달물질에 관련이 많이 돼 있습니다. 그 중에 라모트리진은 glutamate계 약물 분류 중에서 glutamate voltage-gated sodium channel의 길항제로 채널의 알파 소단위에 작용해서 glutamate와 asparate의 분비를 억제합니다.
라모트리진은 양극성장애의 유지치료, 부분발작의 부가적 치료, Lennox-Gastaut 증후군의 전신발작 시 부가적 치료, 일차적인 전신발작의 부가적 치료, 양극성 우울장애에 주로 사용이 되며, 조증 삽화의 부가적 치료, 신경성 동통, 만성통증, 조현병의 부가적 치료, 우울증의 부가적 치료로도 사용이 됩니다.
부작용으로 알러지 반응으로 발진(skin rash)이 약 8~10%에서 나타나고 진정, 흐려보임, 복시, 어지러움, 실조, 두통, 진전, 불면, 피로, 협응능력 저하, 오심, 구토, 소화불량, 복통, 변비, 비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심각한 발진, 스티븐슨-존슨 증후군, 중독성 표피박리증(TEN)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7년에 위의 발프로산을 중복으로 복용하신 분이 중독성표피박리증 사망했던 사건으로 이해 허가변경이 있었습니다. (발프로산은 라모트리진과 플러스 상호작용이 있습니다.)
용량·용법/반감기/상호작용양극성장애 단일 치료의 경우 하루 100~200mg이고, 양극성장애 부가적 치료의 경우 valproate 같이 복용하는 경우 하루 100mg, carbamazepine과는 하루 400mg 정도 사용합니다. (카바마제핀은 라모트리진의 마이너스 상호작용이 있습니다.)
시작 용량은 하루 25mg으로 시작해서 서서히 증량해 나갑니다. 과량복용 시 실조, 안구진탕, 경련, 혼수, 심실 내 전도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감기는 약33시간 정도이고, valproate를 같이 복용하는 경우는 반감기가 59시간이 되며, carbamazepine과 같이 복용하는 경우에는 14시간 입니다. 대사는 간이지만 glucorninidation을 통해서이고 CYP450을 이용하지는 않습니다.
Valproate는 라모트리진 혈중농도를 증가시켜 발진 가능성을 높힙니다. 구강 피임약은 라모트리진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킵니다. 리튬, 항우울제, 비정형 향정신병약물과 상호작용은 없습니다. 모유 수유 시에 아기에게 약물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라모트리진 광감작용라모트리진의 광감작용의 정확한 메커니즘에 대해서 찾아본 결과는 정확하게는 밝혀져 있지는 않아서 Drug-induced photosensitivity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약물로 인한 광감성 피부 반응은 광독성 또는 광알러지 성으로 카테고리화를 보통 합니다. 광독성(phototoxic)이 대부분이고 이것은 햇볕 노출과 약용량 둘 다에 dose-dependent phenomenon을 나타냅니다.
보통 광독성 약물은 low molecular weight( 200~500 daltons)와 planar, tricyclic 또는 polycyclic의 형태를 가집니다. Resonace stabilization을 가지는 heteroatoms를 가집니다. Aromatic chlorine 같은 것은 광감성을 가지기도 합니다.(라모트리진 MW=256g/mol)
광알러지 반응은 이 분자가 haptenization으로 antigen형태로 피부안에 있는 단백질에 붙게 되고, MHC II에 붙어서 T cell로 이어지는 cell-mediated type IV hypersensitivity reaction형태를 띠게 됩니다.
광독성반응은 UV 노출 이후 보통 24~48시간 피크인데 반해 광알러지 반응은 48~72시간 정도에 피크가 오게 됩니다. 보통은 국소적인 광알러지 반응이 대부분인데 과다하게 반응이 지속이 되면 전신반응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런 광감성에 대한 자료가 과학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고 (이중맹검, 임의설정, 플라시보 컨트롤 트라이얼 같은) 또한 이것은 인종의 차이도 있기도 합니다. 위에서 보듯이 약물 농도 의존적으로 반응이 일어나기에 라모트리진도 고용량을 복용 시 또는 용량증가를 갑자기 했을 때 광감성이 더욱 나타나므로 새롭게 복용 하시는 분 또는 용량 증량을 하시는 분에게는 피부반응에 대해서 언급을 해주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고, 여러 약물들이 광감성을 나타내기에 복약지도 시 유의할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서정훈 약사. 대한약사회 학술위원회
참고문헌1) 임상신경정신약물학 제3판 p156-165 대한정신약물학회
2) Vassileva SG, Mateev G, Parish LC. Antimicrobial photosensitive reactions. Arch Intern Med 1998; 158(18): 1993
3) Morison WL. Clinical practice. Photosensitivity. N Engl J Med 2004; 350(11): 1111-7
4) Moore DE. Drug-induced cutaneous photosensitivity: incidence, mechanism, prevention and management. Drug Saf 2002; 25(5): 345-72
5) Neumann NJ, Schauder S. [Phototoxic and photoallergic reactions]. Hautarzt Z Dermatol Venerol Verwandte Geb 2013; 64(5);354-62
6) Galtz M, Hofbauer GFL. Phototoxic and photoallergic cutaneous drug reaction. Chem Immunol Allergy 2012; 97: 167-79
7) Yokoyama WM. Contact hypersensitivity; not just T cells. Nat Immunol 2006; 7(5): 437-39
8) Wilm A, Berneburg M. Photoallergy. J Dtsch Dermatol Ges 2015; 13(1); 7-12
9) Gonzalez E, Gonzalesz S. Drug photosensitivity, idiopathic photodermatoses, and sunscreens. J Am Acad Dermatol 1996: 35(6): 871-85
10) Veien NK. Systemic contact dermatitis. Int J Dermatol 2011; 50(12); 1445-56.
11) Blakely KM, Drucker AM, Rosen CF. Drug-induced photosensitivity-an update: culprit drugs, prevention and management. Drug Saf 2019; 42(7); 82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