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손(경구)'이 2021년 6월 22일부로 시판 후 보고된 이상사례와 관련해 국내·외 허가현황 등 검토결과를 토대로 허가사항이 변경됐다. 복약지도 시 참고 해야한다.
'답손(경구)' 품목현황'답손(경구)' 허가사항 변경 대비표DRESS(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DRESS) 증후군(1) 정의
drug reaction(or rash)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의 약자로 글자 그대로 약물 사용 후 피부발진과 호산구증가가 나타나면서, 전신 증상으로 내부 기관의 침범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발생률은 1/1000~1/10000 정도로 낮으나, 사망률은 10%에 이르는 중증피부유해반응이다.
(2) 주요증상 및 특징 객관적인 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방법이 없어 임상증상의 조합을 통해 진단한다.
① 긴 잠복기: 잠복기가 2~8주. 약물알레르기 중에서 가장 긴 잠복기간으로 간혹 3개월 이상 되는 경우도 있다.
② 고열(38℃ 이상): 보통 피부에 발진이 생기기 1~2일 전에 38℃ 이상의 고열과 함께 권태감이 나타난다.
③ 피부발진: 얼굴, 체간부와 다리에 흔하게 발생하는데 가려움을 동반한 반구진성 발진양상으로 나타나며 진행되면서 홍피증 양상으
로 이행된다.
④ 1~2cm 크기 림프절: 30~70% 환자에게서 동반되는 증상으로 동통성 림프절이 경부, 액와, 서혜부에서 만져진다.
⑤ 혈액소견: 가장 흔한 이상소견은 호산구증가로 66~95%환자에게서 나타난다. 호산구증가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는 비전형 림프구의 존재가 DRESS증후군 진단에 도움이 되며 27~67%에서 관찰된다.
⑥ 전신 내부기관 침범: 다른 약물알레르기와 달리 내부기관을 침범하는 것이 특징이다. 간염, 신장염, 폐염, 심장염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췌장, 담낭, 비장, 소화기관 등 거의 모든 기관을 침범할 수 있다.
(3) 원인약물 국내에서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Korean Severe Cutaneous Adverse Reaction Registry 등록된 환자를 분석
한 결과, allopurinol, carbamazepine, 항결핵제, vancomycin, cephalosporin, dapsone(답손),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약물 등이 흔한
원인약물로 알려져 있다.
(4) 치료 원인약물을 신속하게 중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약물을 중단해도 바로 호전되지 않고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점이 다른 약물알레르기와 차이점이며 보통 15일 이상 지속된다.
DRESS 증후군은 내부기관 침범이 주된 문제이고, 호산구염증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이 매우 중요하고 효과적이다.
피부병변은 있지만 진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더라도 패혈증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스테로이드 치료를 빨리 중단할 경우 급성증상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2~3개월에 걸쳐 천천히 감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답손과 DRESS증후군답손은 항염증 및 항기생충 작용을 하는 화합물로서 나병 치료의 일차선택약이며, 피부염, 피부혈관염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로사용된다.
RegiSCAR study(DRESS증후군에 대한 대규모 전향적 다기관 연구)에서 DRESS증후군 환자 117명의 원인약물을 분석한 결과, 12%가
설폰아마이드 계열이며 이 중 절반 이상이 설파살라진(6.8%)이었고 답손(2.56%),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1.7%) 순서로 나타났다.
2012년 Lorenz M et al. 연구에서 답손 과민반응과 관련된 논문 114개를 분석했다. 호산구 수치가 기록된 178명 중 78명에서 호산구
증가가 나타났고 이 중 4명(5.4%)이 사망했다.
호산구증가가 나타나지 않은 나머지 100명 중에서는 3명(3.0%)이 사망해 호산구증가가 동반된 DRESS증후군에서 예후가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문헌에서는 답손 투여 후 호산구증가가 동반된 DRESS증후군이 발생한 증례는 2건이 있었고 단일기관에서 발생했던 11건을 분석한 결과 1명이 답손에 의한 DRESS증후군으로 보고됐다.
이처럼 답손 투여 후 DRESS증후군이 약물이상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는 바, 약사는 답손 복용 후 2~8주 사이에 DRESS 증후군을 의심할
만한 증상(피부발진과 함께 38℃이상의 고열 등)이 나타난다면 즉각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복약지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생각된다.

김태희 약사. 대한약사회 학술위원
참고문헌1) 고영일. "DRESS 증후군." 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지 제 10.1 (2018)
2) 양민석 et al. “특 집(Special Review) - 약물 알레르기 : 약물에 의한 중증 피부반응.”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vol. 87, no. 6, 2014, p. 665
3) 신보미, et al. "림프종으로 오인된 댑손에 의한 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증후군 1 예."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1.4 (2013): 40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