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로노락톤/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복합제'의 사용상의 주의사항이 변경됐다. 복약지도 시 참고하기 바란다. (허가사항 변경 반영일자: 2021년 6월 24일)
스피로노락톤/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복합제 허가사항 변경대비표스피로노락톤/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복합제 품목(spironolactone/hydrochlorothiazide) 복합제 개요△약리기전
- Hydrochlorothiazide(HTCZ): 원위세뇨관에서 나트륨, 염소, 물의 재흡수를 억제해 배설을 촉진한다. 복용 초기에는 혈류와 심박출량이 감소되고 이 후 지속 복용시 혈류는 정상으로 돌아오며 말초혈관저항이 감소된다.
- Spironolactone: 알도스테론 길항제. 원위세뇨관의 알도스테론 의존성 Na-K 교환 부위 수용체에 경쟁적으로 결합해 알도스테론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나트륨과 물의 배출을 유도한다.
△효능·효과
(1) 다음 질환에 의한 부종 증상
1) 울혈성심부전
① 다른 치료방법에 대해 충분히 반응을 나타내지 못하거나 불내성인 부종 및 나트륨 저류증상
② 다른 치료방법에 대해 부적절한 울혈성 심부전환자에서의 이뇨제에 의한 저칼륨혈증
③ 다른 치료방법이 불충분하거나 부적절해 디기탈리스를 투여받고 있는 울혈성심부전 환자
2) 부종 및 복수를 수반하는 간경변: 이 경우 알도스테론치는 예외적으로 높을 수 있음. 휴식과 함께 수분과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면서 유지요법으로 사용할 것
3) 신증후군: 원질환의 치료, 수분, 나트륨의 섭취제한 및 다른 이뇨제 사용 등이 충분한 반응을 나타내지 못하는 신증
(2) 본태성 고혈압
① 다른 치료방법이 불충분하거나 부적절한 본태성 고혈압
② 다른 치료방법이 부적절한 이뇨제에 기인한 저칼륨혈증이 있는 고혈압
△용법·용량
(1) 부종(울혈성심부전, 간경변, 신증후군)
성인 유지량으로 1일 스피로노락톤과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로 각각 100mg을 1회 또는 분할 경구투여한다. 초회량에 대한 반응에 따라 각각25~200mg을 투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이 약에 스피로노락톤이나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정제를 첨가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본태성고혈압
성인 1일 스피로노락톤과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으로서 각각 50~100mg을 1회 또는 분할 경구투여.
이상반응
- HCTZ: 수분과 함께 전해질 배출을 증가시켜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저나트륨혈증 등을 유발함. 단, 칼슘의 경우는 고칼슘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기타 전신쇠약, 저혈압, 고혈당, 현기증, 요산 증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spironolactione 구조식.
- Spironolactone: 알도스테론이 칼륨의 배설을 촉진시키므로 이를 억제하는 스피로노락톤은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고칼륨혈증은 부정맥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적정혈중농도 유지를 위한 모니터랑이 필요하다. 스피로노락톤은 스테로이드환과 유사한 구조로, 남성호르몬을 억제함으로써 여성형유방이 생길 수 있다(남성 환자의 5~10%) 또한 성기능 장애, 생리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HTCZ와 급성녹내장HTCZ를 비롯해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아세타졸아미드(acetazolamide)와 같은 설파계 약제는 ‘비동공 차단(non-pupillary block)’ 급성 폐쇄각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 설파계 약물은 전방의 얕아짐(shallowing of the anterior chamber), 맥락막 삼출, 안압 상승, 수정체 부종 및 망막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 전형적인 소견은 수정체-홍채 (근시)의 전방 변위로 인한 흐린 시력이다.
설파계 약제가 급성 폐쇄각 녹내장을 유발하는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모양체 부종 및 전방 맥락막 삼출은 모두 홍채-렌즈 횡격막의 전방 변위를 유발해 방수 흐름을 방해하고 이에 따른 급성 폐쇄각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
다음은 급성 폐쇄각 녹내장을 유발, 악화시킬 수 있는 약물이다.

정경인 약사.
참고문헌1)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지: 의약품품목허가사항변경지시알림(스피로노락톤/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성분제제) 의약품안전나라 > HOMEPAGE (mfds.go.kr) accessed in July. 2021
2) MICROMEDEX DRUGDEX, IBM accessed in July. 2021
3) Ah-Kee, Elliott Yann, et al. "A review of drug-induced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for non-ophthalmologists." Qatar medical journal 2015.1 (2015): 6.
4) Rudkin AK, Gray TL, Awadalla M, Craig JE. Bilateral simultaneous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precipitated by non-prescription cold and flu medication. Emerg Med Australas. 2010;22(5):477-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