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구원 김용욱 주임연구원 / 편집 이주하 주임연구원
<지난호에 이어서>
서론2. 지역사회 약사·약국의 역할한편 지역 약국과 약사는 이러한 지역 간의 건강 불평등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지역의 중요한 보건의료 자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약국은 지역 주민과의 접근성 및 편의성이 높아 건강증진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문의약품뿐만 아니라 일반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취급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포괄적인 약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을 케어하는 지역 주요 보건의료 주체 중 하나이다.
국내 지역약국에서의 약료 제공은 대부분 복약상담이 주된 비중을 차지하며 전문적인 약료서비스는 보편화되지 않았으나 해외에서는 지역약국에서 다양한 약료서비스를 개발,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건강보험공단의 '다제약제관리' 사업을 비롯해 보건복지부의 '지역사회통합돌봄' 사업, 경기도 '사회약료서비스', 부산시와 전라남도의 '찾아가는 사랑의 약손' 사업, 대전 중구의 '사랑의 방문약손' 사업, 서울시의 '생활밀착형 약물교육' '주치약사제도' '약손케어 프로젝트' '세이프약국' '올바른 의약품 사용' 사업, 서울시 금천구의 '정약용(正藥用) 바른 약 사용 119 방문 서비스' 등이 시행돼 왔지만 이에 대한 지속가능한 실행과 수가 조정을 위한 제도·정책적 개선 노력의 여지가 있는 상황이다.
서론3. 본 리포트의 문헌고찰 개요이러한 배경과 맥락을 기반으로 본 리포트에서는 해외 연구 또는 정책 사례를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도시 지역과 지방 지역에서의 약사 역할·기능 및 관련 맥락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훑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환경에 따르는 지역사회 약국의 보건의료·건강증진 기능의 특성에 대한 문헌 고찰(Literature Review)을 진행했다.
본 리포트에서는 지역·환경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약국·약사 제공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역할을 비교 연구한 연구 두 편과, 고령화사회(일본과 대만)에서의 관련 정책 사례 두 편을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언급하고자 한다.
도시화에 따르는 약국·약사의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여건 차이(1):
미국 Iowa&North Dakota 도시-지방 약국 비교연구 사례(Scott et al., 2016)Scott 외(2016) 연구에서는 미국 Iowa와 North Dakota 두 개의 주 내 도시와 농촌 약사들의 보건의료 서비스 기능을 분석·비교하기 위해 두 개 주 내 602명의 약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는 크게 ① 약사 입장에서 지역사회에 현재 제공하고 있는 18가지 보건의료 서비스 ② (약사 입장에서 제공할 수 있는) 18개 주요 보건의료 서비스별 각 기여도 ③ 지역사회에의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의 방해 요소 세 분야로 나눠 진행됐다. 해당 연구에서는 ① 약사 입장에서 지역사회에 현재 제공할 수 있는 18개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해서는 다음 <표1>과 같이 정의했다.
미국 내 지방 지역(rural areas)은 대개 도시화된 지역보다 보건의료 전문 인력이 부족한 지역이 많기 때문에 지역 약국의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역할과 건강증진 영향력이 도시보다 지방에서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하다. (Scott et al., 20161; Scott, 2010; Ruble, 20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 지역 약사들은 도시화된 지역 약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에 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 도시화된 지역에는 체인 약국 약사들이 많은 반면 농어촌 지역에는 개별 약사들이 많은데 이는 농촌에서 상대적으로 지역 병원에서의 처방 규모가 그만큼 적고 수익성이 낮은 데에서 기인
해당 연구에서는 도시·지방 지역 통틀어서 지역사회 약사들이 제공하는 보건의료 서비스는 질병 상태 관리, 약물 치료 관리(MTM,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퇴원환자 돌봄, 안전한 의약품 폐기 도움, 통증 관리 상담, 면역 증진, 금연 상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미국 지역 약사들의 경우 면역력 증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해당 연구(Iowa 및 North Dakota 주)에서 약사들의 질병 상태 관리 및 약물 상태 관리 기능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상당히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도시화된 지역과 지방 지역으로 나누어 관찰했을 때, 지방 지역에서 약사들이 질병 상태 관리, 약물 치료 관리, 면역, 금연 상담 및 안전한 의약품 폐기 도움 등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도시에서보다 더욱 빈번하게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상 연구 실험(lab testing)이나 진료 처방(diagnostic ordering)과 같이 장비·시설 기반으로 실행되는 약사들의 보건의료 서비스는 지방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도시화된 지역에서 시행 비중이 높았다. 이는 지방 지역의 낮은 수요와 경제성 문제로 이와 같은 임상 의료 장비·시설에 대한 투자가 실현되기 힘든 실정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