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재확산될 경우 충격과 영향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무엇일까?
최근 공개된 '서울 경제동향 보고서(2020년 11월)'에 따르면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코로나19 충격과 영향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현상 유지'라는 응답이 비교 대상 전체 업종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보건·사회복지 분야의 '현상 유지'라는 응답은 69.1%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건설업 59.9%, 부동산업 55.7% 수준을 보였다. 약국이 포함되는 도소매업도 55.4% 순으로 비교적 높은 응답 비중을 보였다.
'현상 유지' 다음으로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많이 꼽힌 것은 근무시간 단축이었다. 근무시간 단축은 12.5% 비중을 보였으며, 임금 삭감 5.1%, 고용 축소 3.7% 순이었다.
특히 '폐업'이라는 응답 비중도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폐업'을 꼽은 비중은 0.7%로 전체 업종 가운데 정보통신업(0.6%)에 이어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대로 숙박 및 음식점의 경우 '폐업'이라고 답한 비중이 11.9%였다.
지난해 말 발표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1차 재난지원금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린 지난 2020년 2분기 약국의 휴·폐업률은 0.82%로 1년 전보다 1.51%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노래방이나 골프장, 비디오방 등의 업종은 지난해 2분기 휴·폐업률이 1.77%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0.72%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울 경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 3차 확산에 따른 서울의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223명으로 나타났다.
최다 확진자가 발생한 날짜는 지난 12월 20일로 473명을 기록했으며, 이를 포함해 3차 확산으로 인한 누적 확진자는 조사가 진행된 12월 21일까지 1만 5039명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