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자궁근종'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전체 진료환자는 2016년 34만 3천 명에서 2020년 51만 5천 명으로 17만 2천 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0.7%로 나타났다.
입원환자는 2016년 5만 2천 명에서 2020년 5만 7천 명으로 9.1%(5천 명) 증가했고, 외래환자는 2016년 33만 7천 명에서 2020년 50만 8천 명으로 2020년 기준 ‘자궁근종’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51만 5천 명) 중 40대가 37.5%(19만 3천 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32.1%(16만 5천 명), 30대가 16.0%(8만 2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입원환자는 40대 51.5%, 50대 21.1%, 30대 20.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래환자는 4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7.3%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40대 각각 32.2%, 16.0%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대다수 종양과 마찬가지로 연령과 비례하여 종양 발생이 증가하기 때문에 폐경 전인 40대에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50대에서는 폐경이 진행되면서 호르몬이 고갈되어 생리과다 등의 증상이 발생하지 않고 근종 크기의 증가 가능성도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자궁근종'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1625억 원에서 2020년 2971억 원으로 2016년 대비 82.8%(1346억 원)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6.3%로 나타났다. 특히, 외래환자는 2016년 대비증가율이 243.0%으로 가장 높았다.

자궁근종 질환 연령대별 진료형태별 진료인원
2020년 기준 '자궁근종' 질환 건강보험 총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48.7%(1,447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24.0%(714억 원), 30대 18.5%(548억 원)순 이였다.
진료형태별로 구분해보면, 입원진료비는 40대가 52.6%(1,023억 원)로 가장 많았고, 외래진료비는 40대가 41.3%(424억 원)로 가장 많았다.
2020년 ‘자궁근종’질환 1인당 진료비 57만 7천원(‘16년 대비 21.8% 증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6년 47만 4천 원에서 2020년 57만 7천원으로 21.8% 증가했으며, 진료형태별로 구분해보면, 입원은 254만 6천 원에서 2020년 342만 1천 원으로 34.4% 증가하였고, 외래는 2016년 8만 9천 원에서 2020년 20만 2천 원으로 127.3% 증가했다.

최근 5년 자궁근종 질환 진료형태별 총진료비
자궁근종의 치료는 환자의 나이, 발현되는 임상 증상 및 가임력 보존 필요성의 유무에 따라 약물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가 정해지게 된다.
약물 치료는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과 관련된 약제가 주사 또는 복용 제제로 투여되게 되는데, 이러한 치료는 자궁근종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지 않고 약물이 투여되는 시간 동안 크기를 줄이거나 임상 양상을 완화시키는데 있다.
약물 치료의 경우 약물 투여 이후 자궁근종이 다시 커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약물치료 중 폐경 여성이 겪는 안면홍조, 무력감, 불면 및 골다공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하는 바, 치료 전 약물치료의 장단점을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상담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