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역점사업으로 진행했던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에 ‘의약품 배송’ 분야가 포함했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와 항공안전기술원(원장 이대성)은 올해 드론실증 도시 공모를 통해 15개 지자체를 선정했다.
선정된 지자체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경기 성남시, 강원 영월군, 충북 음성군, 충남 서산시, 태안군, 전북 전주시, 남원시, 전남 고흥군, 여수시, 경북 김천시, 경남 창원특례시 등이다.
지자체 중 서산시는 섬지역 우체국 연계 물품배송과 서산의료원 연계 원격진료지역 의약품 배송, 섬 지역 생산품 등 물품 역배송 사업 등을 추진하고 올해 상반기 시범운영을 마치고 7월부터 고파도, 우도, 분점도 등을 본격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난 2019년부터 드론활용 사업의 가능성을 넓히고, 지자체별 다양한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모델을 시험?적용하기 위한 드론 실증도시 사업을 확대 지원해 왔다.
그간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드론배송 사업’, ‘50kg 이상 중(重)화물 운송’ 등의 우선과제를 사전 공지하고 지자체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선정된 지자체의 실증모델에 다수의 드론배송 서비스가 포함됐는데 추후 드론 배송을 실증하는 지자체 및 택배·유통업계까지 참여하는 드론 배송 협의체도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업계까지 참여하는 드론 배송 협의체도 운영해 택배 받기가 불편한 도서지역부터 시작, 도심 내 공원지역까지 드론 배송 상용화 지역을 점차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김영국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관은 “올해를 드론식별시스템과 드론비행로 등의 드론배송체계를 갖추고 본격적으로 상용화에 착수하는 K-드론배송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여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K-드론배송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정부와 지자체, 드론산업계, 배송·유통기업, 학계, 관련 기관들의 긴밀한 협력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지자체, 항공안전기술원과 함께 3월 28일 세종시에서 ‘2023년 드론 실증도시 협약’을 맺고, 드론 활용을 통해 국민이 보다 편리해지는 한편 안전수준도 높아질 수 있도록 올해 선정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