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인슐린제제 등 강화된 생물학적제제 배송 문제를 놓고 식약처는 의약품유통업체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이를 반영해 개선 했지만, 제품 공급을 하는 다국적제약사는 이를 외면하고 있다.
최근 식약처가 일부 규정을 수정하면서 인슐린제제 등을 비롯한 생물학적제제 배송이 보다 수월하게 됐지만, 약국 배송 비용 문제는 제약사들의 비협조로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유통업계의 지적이다.
식약처는 그동안 의약품유통업체가 수정을 요구했던 복수 용기 배송, 타이트한 온도 규정 등을 현장을 직접방문하고 시장 상황을 고려해 일부 규정을 수정한바 있다.
그러나, 식약처가 생물학적제제 배송 규정이 시장 상황을 고려해 수정했어도 업계에서는 강화된 배송규정에 따른 설비와 인력 드의 부담으로 납품할 수록 손해를 봐야하는 '비용 문제'가 난제이다.
의약품유통업체들은 약국에 인슐린 제제 등 생물학적제제를 배송하고 싶지만 현재 마진 구조로는 납품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환자들에게 보다 안전한 의약품 배송을 해야 한다는 대명제에는 동의하지만 손해를 보면서 의약품 납품을 하기에는 너무 부담이 된다는 것.
약국에 납품하는 인슐린제제 경우 마진이 4~5%수준인데 문제는 약국 거래에서 발생되는 카드 수수료 등 약 4%수준의 수수료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 인건비, 물류비 등 고정비를 감안하게 되면 인슐린제제를 납품할 수록 손해를 보게된다.
약국 인슐린 제제 배송 비용 문제를 위해 한국의약품유통협회는 해당 다국적제약사들과 간담회 등을 추진했지만 다국적제약사들의 거부로 간담회 자체가 취소된바 있다.
의약품유통업체들은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의약품 배송을 위해 규정이 변경된만큼 이에 따른 마진 구조도 변화가 필요하지만 현재 다국적제약사은 ‘나 몰라라 식’ 일변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한국의약품유통협회 고위 관계자는 “약국 인슐린제제 등 강화된 생물학적제제 배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마진 등 비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안된다”며 “정책적인 부분을 식약처가 적극적으로 현장을 방문하고 시장 상황을 고려한만큼 다국적제약사들도 제도가 변경된만큼 시장 상황을 고려해 현실적인 마진을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