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내년부터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정보를 모두 공개할 전망이다.
후생노동성은 18일 제약업체로부터 보고된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정보를 내년 1월부터 전부 공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현재 공표되는 정보는 인과관계가 강하게 의심되는 사례나 미지의 사례 등 영향이 큰 것에 한정돼 있지만 부작용 사망자가 다수 발생한 폐암치료제 이레사(성분명 게피티닙) 문제를 계기로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 조치로 의료관계자가 부작용 정보를 폭넓게 얻을 수 있게 됨으로써 부작용 피해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생노동성은 의료관련업체로부터 보고된 부작용정보를 독립행정법인 `의약품·의료기기 종합기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 하지만 공개범위가 한정돼 있어서 총 보고건수의 10~30% 밖에 제공되지 않고 있다.
부작용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시민단체 등의 `불투명하다'는 비판이 높아지면서 대응책을 검토해 왔다. 지금까지 비공개한 의료기기 피해사례를 포함해 작년 4월이후 보고된 정보를 모두 공개할 예정이다.
공개항목은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난 환자의 성별 및 연령, 병명, 약품명, 병용한 약물, 부작용 증상 등이다.
의약품·의료기기 종합기구가 지난해 공표한 부작용보고는 1872건였지만 전부 공개하면 2만5142건으로 늘어난다. 작년 의료기기 피해사례도 1만5714건에 이른다.
어린이 12명이 복용한 후 사망한 사례가 보도된 독감치료제 타미플루는 2000~2004년 1176건의 부작용이 보고됐으나 공개된 것은 133건뿐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