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100만 시대, 동물약국 3000개 육박이라는 기록과 달리 국내 동물약 시장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약회사들 역시 동물약과 동물관련용품 등에 관심은 가지고 있지만 쉽지 않은 허가 등으로 인해 몇 년째 눈치 보기만 하고 있다.
인의용의약품을 출시하는 제약회사라고 하더라도 동물약을 제조해 판매, 수출하기 위해서는 농식품부의 별도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허가가 까다롭다보니 대형 제약사들마저 쉽사리 손대지 못한다는 것이다.
약사공론이 지난 11일 모 경제지를 인용 보도한 '거꾸로 가는 동물약시장…세계 시장 커지는데 국내는 하향' 보도와 관련해 약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여러 제약사들이 동물약 시장에 뛰어들겠다는 의지를 보이고는 있으나 감감무소식"이라며 "허가 등의 어려움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고 말했다.
극히 일부의 제약사를 제외하고는 동물약을 취급하고 있는 제약회사가 없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대형제약사인 D제약과 중소형제약사인 J제약 역시 내부적으로 생산 등을 검토한 바 있으나 허가 문제로 인해 현재로서는 거의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A약품의 경우에도 동물관련용품을 만들었으나 농식품부에서 허가를 취소하는 사례도 있었다는 지적이다.
이 관계자는 "A약품의 사례가 알려지며 다른 업체들마저 눈치 보기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제약회사뿐만 아니라 유통업체들 역시 동물약 취급과 관련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모 유통업체 측은 "동물약을 취급하려 했지만 별도의 창고와 차량을 이용해야 한다고 해 결국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창고는 마련할 수 있겠지만 인용 약과 별도의 차량을 이용해야 한다는 규정 등으로 인해 결국 상황을 지켜보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수요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동물약만 취급하는 것 자체가 회사로서는 부담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동물약국협회 임진형 회장은 "제약회사들이 쉽사리 접근할 수 없는 진입장벽으로 인해 일부 소규모 업체만 동물약을 생산, 취급하고 있지만 해당 업체들마저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며 "영세 중소업체들이 몰락할 경우 외자사의 횡포나 가격 인상 등도 불가피해 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임 회장은 농식품부와 식약처의 애매한 업무 분장 등에도 불만을 표시했다. 농식품부의 경우 식약처로 문제를 소관하고 식약처 역시 동물약의 경우 농식품부의 업무 영역이라는 듯한 태도를 취한다는 것이다.
임 회장은 "농식품부와 식약처의 일원화 등으로 인해 제약사와 유통업체들도 시장에 뛰어들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줘야 할 것"이라며 "영세한 업체들만 시장에서 도태되는 흐름을 막고 보다 시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