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들이 5개 혹은 10개의 다제약물을 복용하고 있다면 무조건 줄이는 것이 좋은 걸까.
노인 환자의 의약품 복용과 관련 '적절한 다약제'에 대한 의견이 제시된 연구가 있어 눈길을 모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공개한 '노인의 다약제 사용 관리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노인의 다약제 사용에 대해 맞춤형으로 정보를 안내하기 위해서는 노인에게 위험도가 높은 의약품 또는 다약제 사용 조합에 대해 명시적 기준을 검토해야 한다고 전제한다.
65세 이상 노인의 약물관련 문제와 다약제 현황을 파악하고, 약물관련 문제·투약관련 위해 연관성이 있는 고위험 다약제 사용 조합 목록을 도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연구에서는 노인의 다약제는 정의가 모호하고 환자의 건강상태에 좌우된다는 점에서, 다약제를 약의 개수만으로 규정짓기에는 한계가 있고, '적절한 다약제' 사용과 '부적절한 다약제'를 구분해야 한다고 다약제의 정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에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한 노인 다약제 사용 관리는 국가적인 로드맵이 필요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투약관련 위해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3개의 영역을 다약제(polypharmacy), 고위험 의약품(high-risk medicine), 케어변화(transition of care)로 정했다.
이에 연구보고서에서는 국가 차원의 관리 대책의 세부 관리방안에 △다약제 적절성을 평가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다약제로 인한 투약관련 위해를 관리하는 방안 전략을 수립 및 약제 사용을 점검하고 약제를 줄이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약제 사용을 점검할 수 있는 관리 체계를 마련, 인증부터 서비스제공, 보상까지 일련의 단계별로 관리될 수 있는 체계를 세울 필요 있다고 제안했다.
△ 다약제 사용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부적절한 다약제 사용을 탐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 및 모니터링 △환자, 의료인, 보건 분야 종사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처방 행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다각도의 정책을 마련도 필요하다.
외국에서도 다약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약품 관리보다는 의약품 최적화, 최선의 처방을 강조하고 있고, NICE에서도 2015년 의약품 최적화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
연구에서는 향후 노인에서 고위험 약물의 다약제 사용에 대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한다면, '적절한 다약제'를 정의할 수 있는 평가(점검)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즉, 몇 개 이상, 어떤 약물을, 며칠 사용한 경우, 어떤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약제 사용을 포괄적으로 평가(점검)할 것인지 환자 평가 기준 선정의 근거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노인의 부적절한 다약제 사용을 정의하고, 이를 현재 DUR로 점검하고 있는 노인 주의 의약품 기준 등에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