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부(지부장 차용일)가 신세계 이마트의 'NO PHARMACY'상표 등록 출원을 강력히 규탄하고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했다.
26일 성명서를 통해 약국과 약사를 의미하는 'Pharmacy' 앞에 'No'(노)라는 부정표현을 붙인 ‘No pharmacy’는 일반인의 상식선에서 약사, 약국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지부는 "정용진의 이마트가 'No Brand'(노브랜드), 'No Burger'(노 버거)로 소비자에게 어필 유통업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지만 그 자만감으로 약국과 약사라는 대국민 공익 분야마저 상업적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 자체브랜드 브랜드 'No Pharmacy' 상표를 출원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원료를 사용한 제품이기 때문에 의약품이나 기타 영양제 복용 시 전문가 상담이 필수이다. 같은 종류의 건기식이라도 원료와 성분 함량이 중요하고,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건기식이라도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No pharmacy가 약사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는 것은 전혀 아니며, 건강기능식품에 쉽게 접근하자는 차원이라 주장하지만 의도한 바가 아니더라도 부정적 인식 소지가 다분하다"며 "건강 기능 식품 판매를 위해 국민보건·국민생명과 직결된 약사 고유의 영역에 대해 'NO Pharmacy'를 갖다 붙이는 행위는 무언가 약국이 크게 이윤을 남기고 있는 것으로 마냥 비춰지고 나아가 부정적인 인식마저 갖게 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지부는 "국민 대다수에게 '약국'으로 인식되어 있는 Pharmacy란 단어는 공익을 위해 법률로 보호하고 있다. 약사가 아니면 약국을 개설할 수 없고, '약국'이란 명칭도 사용할 수 없다. 약국과 약사를 의미하는 'Pharmacy' 앞에 'No'(노)라는 부정표현을 붙인 ‘No pharmacy’는 일반인의 상식선에서 약사, 약국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국내 대형 유통기업인 이마트가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마트가 의도했던 안했던 전국의 모든 약국과 약사의 가슴에 비수를 꽂는 행위인 것이다. 정용진 부회장의 이마트는 ‘No Pharmacy’ 상표등록 출원을 즉각 철회하고 상처 입은 전국 8만 약사에게 공개 사과하라"며 "이를 거부할 경우 약국에 NO! Emart 포스터를 게시하고 불매 운동에 돌입할 것임을 분명히 하고 실행 가능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강력히 대응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