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독감백신이 유통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되어 13~18세 대상 무료독감백신 접종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독감백신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전봉민 의원은 블라인드와 공동으로 진행한 백신대상 직장인 긴급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이같이 설명했다.
공개된 과에 따르면, 직장인 중 본인이 독감백신 접종을 완료했거나 접종할 의향이 있는 직장인은 응답자 중 73.3%에 달했다. 이에 반해 접종을 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13.3%에 불과했다.
반면 독감백신에 대한 안정성 검사가 완료된 이후에도 자녀들을 ‘접종시키지 않겠다’ 는 응답비율이 42.7%나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접종시키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43.0%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자녀에 대한 접종의향 입장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봉민 의원은 “이는 본인 접종의향이 73.3%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이례적인 결과로 해석된다”고 평가했다.
독감백신 상온노출로 인한 무료예방접종 중단에 대한 책임소재 관련해서는 유통회사를 지목한 응답자 비율은 절반을 넘는 56.0%였다. 그러나 응답자 중 39.5%에 달하는 이들은 ‘사업을 총괄하는 정부’에게 책임이 있다고 응답했다.
전봉민 의원은 “본인 접종 시에는 비용을 지불해야 함에도 10명 중 7명이 이미 접종을 했거나 접종의향이 있는 반면, 자녀에게는 무료임에도 백신을 접종시키겠다는 비중이 10명 중 4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독감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그만큼 높다는 방증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 의원은 “독감백신 상온노출 사태의 책임을 정부에 두는 여론이 높은 만큼 해당사태에 대한 정부의 행정지도와 대응이 적절했는지 여부도 철저히 조사해야 할 것”으로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