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성상 변경…제약사의 책임감이 필요하다
2023-02-27 05:50:06
김이슬 기자 yi_seul0717@kpanews.co.kr
“성상 변경에 대한 환자, 소비자의 이해도가 높지 않다. 변경 이유를 설명해도 오히려 잘못된 약을 준 게 아니냐며 약사를 의심하는 경우가 많다. 약사의 고충이 너무 심하다.”
제약사의 성상 변경 문제가 쉽사리 해결되지 않고 있다. 약국가의 오랜 난제이지만 지금도 제약사들은 갖은 이유로 색상, 크기 등을 변경하며 약사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물론 성상 변경의 이유는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긍정적인 이유도 있다. 이러한 이유라면 약사들도 당연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위탁업체의 변경 등 도무지 납득할 수 없는 이유도 많다.
약사들은 의약품 성상 변경으로 발생하는 환자 마찰이 가장 두렵다고 한다.
특히 내가 복용하는 약이 무슨 약인지 이름까지 꿰고 있는 만성질환자의 경우 약의 변화를 모를리 없다. 이렇다 보니 이들 중에는 약이 바뀌었다며 오·투약을 지적하며 약사의 조제 실수를 의심하는 일도 있다.
제약사에서 모양만 혹은 색깔만 다른 ‘같은 약’이라고 설명을 하지만 환자에게는 그동안 복용하던 약과 다른 ‘새로운 약’으로 인식될 뿐 약사의 설명이 쉽사리 이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뿐일까. 구약과 신약의 혼재에 따른 혼선도 있고, ATC를 사용하는 약국이라면 약을 새로운 카세트를 구매하기 위한 비용도 발생한다.
이처럼 환자 마찰부터 조제 신뢰도 하락까지 성상 변경에 따른 불편은 계속되지만, 문제는 약국에서는 이 같은 일은 꼭 사건(?)이 터진 후에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제약사에서 성상 변경에 대한 홍보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 물론 예전보다 약국에 알리는 빈도가 높아졌다고는 해도 여전히 소식을 알리지 않거나 의약품유통업체에만 정보를 알리는 등의 무책임한 행위가 반복되고 있다.
약사들은 성상 변경에 따른 약국가의 실질적인 해법을 찾을 수 없다면, 최소한 환자에게 설명할 수 있는, 즉 복약 편의를 해치지 않는 시간적 여유를 위해 사전 고지가 필수라고 말한다.
제약사는 국민건강을 목표로 의약품을 판매하고 있다. 제약사는 성상 변경이 환자들의 혼선을 일으키고 조제 신뢰도까지 하락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복약 편의마저 해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정말 제약사가 국민건강을 목표로 한다면 성상 변경 의무고지에 민감도를 높이고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