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짜기라도 한 듯 제약사의 일반의약품 공급가 인상 소식이 연초부터 들려오고 있다.
이미 국내 제약사의 대표 품목들이 줄줄이 공급가 소식을 알렸거나 인상을 계획 중이다. 이들 제품은 적게는 7%에서 최대 11%까지 인상 폭도 다양하다.
공급가가 인상되면서 약국은 제품 판매가를 조정하고, 소비자의 가격 저항도 감당해야 한다. 이는 약사들이 일반의약품 공급가에 예민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제약사도 할 말은 있다.
매년 물가는 오르고 인건비도 상승하는 데 일반약이라고 예외일 수 없다. 실제 몇몇 제약사들은 오랜 고민 끝에 원가부담률을 이기지 못하고 불가피하게 공급가를 인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 때문에 신뢰 관계가 쌓인 약국과 영업사원 사이에는 공급가 인상 전 정보를 공유, 선주문을 통해 재고를 확보하기도 한다.
문제는 공급가 인상 거짓 정보를 흘려 제품구매를 유도하는 일부 영업사원의 과잉영업이 여전히 성행하는 데 있다.
물론 정확한 공급가 인상 정보는 약국에는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반대로 사재기를 유도하기 위한 거짓 정보는 약국에 부담을 낳는다.
이 같은 일부 영업사원의 일탈은 약국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일 중 하나다. 실제 최근 서울 A약사도 도매 영업사원에게 이 같은 수법에 당했다.
안 그래도 공급가에 예민할 수밖에 없는데 기름을 부은 격이다. 이 경우 약국의 항의는 당연히 해당 영업사원과 제약사를 향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잘 생각해야 한다. 제약사와 약국, 유통까지 이들의 관계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가격 인상이 피할 수 없는 조치라고 한다면 최소한의 양심은 챙겨 갈등의 소지가 있는 행위는 서로를 위해 삼가야 한다.